내년부터 아이를 낳으면 월 70만 원을 받게 됩니다.
만 1세 아기를 키우는 가정에는 매달 35만 원이 나옵니다.
소득·재산에 상관없이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지급하기로 한 이른바 '부모급여'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출산 시 받게 되는 현금성 지원은 이보다 더 많을 전망입니다.
각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별도 출산 지원금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서울 강남구에서는 첫 아이 출생 시 30만 원을 지급하고 있는데 내년부터 2백만 원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구의회에 예산안이 제출된 상태로 통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서울 중구도 첫째 출산 시 출산 장려금 20만 원, 둘째는 100만 원을 지급하고 있는데 내년에 지급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올해부터 정부가 지급하는 '첫 만남 이용권' 2백만 원도 있습니다.
이는 국민 행복카드를 통한 쿠폰 형태입니다.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 지자체가 열을 올리는 가운데 현금성 지원 정책이 실제 출산율 제고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21219123910435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